비상금 묵혀두지 말자
그래도 예금금리 높은 은행으로 갈아타려고 한다면, 지금 어디가 제일 낫지?
요즘 주식도 애매하고, 부동산은 여전히 멀게만 느껴진다.
그렇다고 가만히 두자니 청약통장이나 비상금 통장이 너무 '놀고 있는' 기분.
혹시 몰라 모아둔 비상금을 어느 은행에 넣어두어야 가장 유리한가 한번 따져 볼 때가 됐다.
"그래도 금리가 높은 예금으로 옮겨두면 몇 만원이라도 더생기는 거 아닌가?"
그래서 바로 웹서치에 들어갔다.
예금 금리, 요즘 얼마나 줄까?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2025년 4월 기준 12개월 만기 정기예금의 기본금리는 대체로 2% 중후반.
3% 넘는 상품은 이제 보기 어렵다. 멸종된 수준.
하지만, 그렇다고 마냥 실망할 일은 아니다.
인터넷 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 등으로 조금만 넓게 보면
그래도 '이자율 높은 예금상품'을 찾을 수 있다.
지금 가장 높은 예금금리는 어디은행인가?
직접 갈아탈 목적으로 하나하나 비교해본 결과,
2025년 4월 기준 현재, 1년 정기예금 기준 최고금리는 약 2.95%이다.
은행 | 상품명 | 금리(연) | 특징 |
Sh수협은행 | 헤이(Hey)정기예금 | 2.95% | 인터넷 가입 가능, 수협 앱 필수 |
케이뱅크 | 코드K정기예금 | 2.90% | 모바일 간편가입, 이자지급형 다양 |
전북은행 | JB 다이렉트예금통장 | 2.85% | 인터넷 + 모바일 전용, 지역제한 없음 |
이 외에도 신협, 새마을금고, 수협, 저축은행 쪽으로 눈을 돌리면 3%대 근접한 상품도 간간히 등장한다.
단, 조건이 복잡하거나 가입한도가 낮은 경우도 있으니 꼼꼼히 비교해야한다. 참고하라고 시중은행 금리 현황과 엑셀파일 남겨본다.
<5대 시중은행 기준금리 현황>
은행 | 기본금리(연) | 기본금리(연,%) |
NH농협은행 | NH올원e예금 | 2.75 |
우리은행 | WON플러스예금 | 2.70 |
KB국민은행 | KB Star 정기예금 | 2.40 |
하나은행 | 하나의 정기예금 | 2.40 |
신한은행 | 쏠편한 정기예금 | 2.15 |
나처럼 '비상금', '청약대기금' 있는 사람이라면?
1.청약통장 금액은 그대로 두고, 여유자금은 수협으로이체
👉 사실 매달 넣는 돈 외에 쌓여있던 200만원 정도가 그대로였다. 이걸 수협 '헤이정기예금'으로 예치. 월 이자 4,900원 예상.
2. 비상금 통장도 예금으로 분산.
👉 평소 1,000만원 가량 CMA에 넣어두었는데, 그 중 50% 정도는 케이뱅크 정기예금으로 전환.
소소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예치 금액만으로 연 20~30만원의 이자를 '덤'처럼 받을 수 있다.
갈아타기 전 확인할 3가지 포인트
1.중도해지 시 금리
👉 갑작스런 자금 필요 시 중도해지이자율이 낮아 손해를 볼 수 있다. 비상금은 일부만 예치하자.
2.예금자 보호 여부
👉1인당 5천만원까지 보호. 여러 은행으로 분산 예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3. 복리 or 단리, 이자 지급 방식
👉매달 이자 받는 상품과 만기 일시지급 상품 중 원하는 스타일에 맞게 고르자
묵혀두지 말고 움직이자
한 달이 지나면 이율은 또 바뀔 수 있다. (25년 7월 기준금리 인하 재개 예상)
특히 기준금리 인하나 인상 예고가 나오면 예금금리도 급속히 반영되기 때문이다.
예전처럼 " 1년 넣어봐야 10만원도 안 되는데 뭐하러..." 하는 시대는 지났다.
한달 넷플릭스 요금이 1만 3천원이니까, 그 돈 벌었다고 생각하면 기분이 다르다.
예금은 투자가 아니다. 그러나 시작은 될 수 있다. 다음엔 CMA와 예금 그리고 적금 상품을 비교해보려한다.
어떤 게 지금 시점에 가장 합리적인지 궁금하다면 다음 글도 기대해주시길.
킨토노미, 1분 투자이야기
'절약 하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시 6개월 만에 600만 봉 팔렸다는 요즘 난리라는 한국과자 회사는? (3) | 2025.04.25 |
---|---|
2025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과 지급조건 총정리 (1) | 2025.04.24 |
540만원 준다는데... 드림For청년통장 신청해볼까? (4) | 2025.04.08 |
취업준비 중이라면 최대 300만원, 꼭 알아야할 지원제도 (3) | 2025.04.07 |
국세청이 직접 10만원 돌려준대요 : 원클릭 환급서비스 신청방법 (2)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