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투자 마인드

요즘 MZ는 얼마 있어야 부자 일까? 팩트체크

킨토노미 2025. 4. 11. 06:01
반응형



나는 상위 몇 %일까? 숫자로 따져본 진짜 자산의 기준


최근 들어 자주 듣는 질문이 있다.

"요즘 진짜 부자는 얼마쯤 있어야 하나요?"

"내 자산 수준이면 상위 몇 %쯤 되는 걸까요?"

 

이건 단순한 호기심 그 이상이다.

물가도 오르고, 자산 격차는 더 벌어지는 지금,

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질문이다.

 

나 역시 그랬다.

정확히 알 수 없으니 불안했고,

내가 괜찮은 건지 아닌지 모호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이번에는 하나금융연구소 보고서2024년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요즘 MZ세대(40대 이하) 자산 수준과 부의 기준을 직접 정리해보았다.
 

 


 

대한민국 MZ세대 순자산 현황

 
40대 이하 가구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가구 단위 순자산(부채를 뺀 실제 보유자산)을 기준으로 한다.

구간 순자산

상위 10% 약 8억 원 이상 상위 10%, 금융·부동산 복합 자산
상위 20% 약 4억 4천만 원 중상위권, 자산 관리 전략 보유
상위 30% 약 3억 원 이상 부동산 1채 + 금융 자산
중위값 약 1억 3천만 원 MZ세대 평균 수준
하위 30% 이하 5천만 원 이하 자산 축적 초기 단계

※ 순자산 : 보유자산 - 부채

 

이 표를 보며 느낀 건 하나다.

'나만 힘든 게 아니구나'라는 안도감과 동시에,

이대로 가면 진짜 뒤쳐질 수도 있겠다는 위기감이었다.
 

 


MZ 부자들은 어떻게 자산을 모았을까?

 
하나은행의 ‘MZ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10명 중 7명은 자수성가형이다.

  • 주식, 해외투자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
  • 전문가보다 스스로 판단하고 투자
  • 임대소득, 배당소득 등 2.6개의 소득원을 운영
  • 부모세대보다 금융자산 비중이 더 크고, 부동산 비중은 낮다

 

게다가 향후 부모 세대의 상속까지 고려하면

앞으로 자산 격차는 더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나는 어디쯤일까?

 
정답은 없지만 기준은 필요하다.

나에게는 지금 이자료가

'어디에서 시작하고, 어디까지 가야할지'를 알려주는 지도 같다.

 

MZ세대에게 부의 기준은 더이상

월급만으로 채울 수 있는 단일한 소득구조가 아니다.

 

다양한 수익원 확보

복리로 성장하는 자산구조 설계

투자 판단력을 키우는 실전 경험

 

이 세가지가 오늘의 기준이고,

나는 지금 그 첫 단추를 채우는 중이다.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돈을 '흐르게 만드는 구조'를 스스로 만들어가는 힘,

그게 진짜 부자의 출발점이다.

 

 


 
 
킨토노미, 1분 투자노트
 

 

 

 


이 정도 자산이 있어야 진짜 대한민국 상위 1% :

 

이 정도 자산이 있어야 진짜 부자, 한국 상위 1% 현실과 찐부자 기준

한국 상위 1% 현실과 진짜 부자의 기준 많은 사람들이 한 번쯤은 궁금해한다.도대체 어느 정도 자산이 있어야 ‘진짜 부자’라 불릴 수 있을까?뉴스에서 ‘상위 1%’라는 단어가 나올 때면,“나

rerepla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