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하는법

금 ETF 투자하는 방법 (한국 금 ETF 종목, 비과세방법)

킨토노미 2025. 2. 24. 16:49
반응형

최근 최고가 경신하는 금가격에 최금 국내 금투자가 산골까지 소문이 났을 정도

하루 20% 김치 프리미엄이 붙었다할 정도로 엄청난 관심을 끌었다.

최근 지인이 금을 금은방에서 구입했다는 말을 듣고,,, 좀 더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써보려고 한다.

크게 2가지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유리한 방법으로 투자하길 바란다.

특히 투자금액이 커질수록... 2번이 유리하다.

 1. 금 ETF 투자하는 법

 
  2. KRX 금 현물 거래하는 방법  (세금 혜택)

 
  3. 비교정리

 
 
 


1. 금 ETF 투자 : ACE KRX 금현물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찾는 방법.

국내 현물 금투자 ETF로 한국투자신탁에서 운용중이며 2021년 상장.  

KRX 금시장에서 거래되는 금 현물 가격에 연동하여, 국제 금 시세 + 달러화 환율 + 국내 수급요인 등을 반영한다.

최근 들어, 국내 금 시세가 국제 금시세보다 10% 더 비싸다...


  •  종목명: ACE KRX 금현물
  •  종목코드: 411060

 

  •     장점 : 일반 주식처럼 쉽게 사고 팔수 있음, 새로운 계좌를 만들지 않아도 됨.
  •     단점 : ETF이므로 양도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 부과됨.


   👉 참고. 아래 "2. 금 현물거래"를 한다면 증권거래세를 부담한다. 이 경우 매도금액의 0.002% 로 비용이 확 줄어든다. 1천만원 이상 투자하는 경우.

 

* 참고. 검색하다보면 "삼성 금현물 ETN(530083)" 이라는 것도 있는데,

  ETN은 상장지수증권으로 실제 금을 보유해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행사가 추종지수와 연동해 운용하는 것으로 발행사 리스크가 있음에 유의하여야한다.


 

**해외 금 ETF(SPDR GOLD, IAU)  는 유리한 선택이 아닐 수 있다. 최근 환율이 올랐기 때문인 것도 있고,

해외ETF는 양도소득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22% 국내 ETF보다 7%정도의 세금을 추가로 내야한다. 


***반대로 앞으로도 계속 환율이 오를거라 생각한다면(달러가치상승) 해외 금 ETF 도 좋은 전략일 수 있다.

선택은 본인의 의사에 맡긴다.



2. KRX 금현물 거래 방법  (실물 금을 금은방 가지 않고 사는법)

영화 '극한직업' 진선규가 금거래 홍보대사다.

 
한국거래소**에서는 14년 이후 금을 계좌를 터서 사고 구입할 수 있게 만들었다. 


KRX금시장은 주식처럼 편리하게 증권사(13개사*)를 통해 계좌 개설후 증권사 거래시스템에서 투자자가 직접 거래한다.


* KB증권, NH투자증권, SK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선물, 키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차증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령' 의해 설립된 기관이다
 
 

krx 홈페이지

 
주의할 점KRX 금시장을 통한 공식거래는 이것 하나 뿐이다.


괜히 한국금거래소 같은 민간페이지 들어가지 마시길. 수수료만 더 받는다.


 

 
  증권앱에 접속하여 "금현물 거래" 검색한다.


  :: 종목코드 / 종목명 ::

  • 4020000 / 금99.99_1kg 
  • 4020100 / 미니금99.99_100g

 

 
(한가지 번거로운 점)
주식거래를 한다면 증권사 계좌 위 13곳 중 하나는 가지고 있을 테지만

주식계좌 이외에 '금 전용으로 계좌'를 하나 더 개설해야한다.

그러나, 이를 충분히 감수할만한 4가지 혜택이 있다.

 

 

  • 금융소득종합과세 비대상
  •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비과세
  • 부가가치세 면제
  • 관세 면제


  비과세 혜택이다. 뭐만 하면 세금 떼는 요즘, 굉장한 투자수단이될 수 있다. (물론 1년전에 투자했던 분이라면... 엄청난... 축하드립니다.)


  특히, 금을 팔 때 0.002%의 증권거래세만 내면 되기 때문에 굉장한 혜택이다. (물론, 운용사 수수료 제외하고)
 
  예를들어, 1,000만원어치 구매한 금을 매도시 1,200만에 판다면 증권거래세는 240원이다. (1200만원 * 0.002%)

  만약 금현물이 아닌 ETF를 구입했다면 약 30만원의 세금을 내야한다.


  단, 실물로 금을 인출하신다면 10%부가세가 부과된다. ( 대부분 매매차익을 노리는 투자이므로 금을 따로 꺼낼 일이 보통 없다...)
 
 

 
참고로 순도 99.99%의 금이며, 1g부터 구매가능.(미니금_100g과 금 1kg 모두 1g부터 거래가능) 


  👉 금 현물거래의 경우 하신다면 증권거래세 0.002% 와 운용수수료(0.1~0.3%) 부담
 
 

* 금 1kg 가 국제 금 시세에 가까운 가격이며, 미니금은 100g 단위로 거래규모와 수요에 따라 다소 비쌀 수 있음. 
 


3. 금 ETF vs 금현물 거래 비교 정리 

 

구분ACE KRX 금현물 ETF 투자KRX 금현물 거래
거래 방식금 가격을 추종하는 ETF (주식처럼 매매)실물 금을 직접 매매(한국거래소 KRX)
거래 단위1주 단위( ETF 가격에 따라 다름)1g단위(소액가능)
기준 가격KRX 금 현물시세 반영1g단위(소액가능)
환율 영향 없음 원화 거래❌ 없음(원화거래)
매매차익 세금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15.4% 배당소득세❌ 없음(비과세)
거래세❌ 없음✅ 증권거래세 0.002% 
부가세(10%)❌ 없음❌ 없음(매매시)
실물 인출 가능 여부❌ 불가능✅ 가능(100g, 1kg 단위)
실물 인출 시 부가세해당없음10%부과
기타 비용ETF 운용보수 (연 0.3%~0.6%)증권사 거래수수료(0.1~0.3%)
적합한 투자자간편하게 금 가격을 추종하며 투자하고 싶은 사람실물 금을 보유하고 싶거나 세금혜택을 원하는 투자자

 
 
 
 


4.킨토노미 의견 : 금, 매입하기 좋은 타이밍은 아니라는 생각

 
  모든 투자자들이 항상 강조하는 투자의 원칙 "쌀 때 사서 비쌀 때 파는 것." 


  그러나 요즘 금거래를 말리고 싶은 이유는 국제 금시세와 괴리율 때문. 2/19기준, 10% 이상 높은 금액으로 치솟았다는 점.

한국에서만 균형 가격 이상을 웃도는 현상.


  한국, 그 중에서도 시골 촌동네까지 알려진 상황에서 , 기사화 되는 상황, 그리고 이런 '공시'까지되는 이 상황은 그리 발 들여놓기 좋은 상황은 아니다.


 

  3년 이상의 장기투자의 관점이라면 일주일에 만원씩 ~ 소액으로 투자는 뜯어말리지는 않겠지만,

  한꺼번에 큰 금액은 투자하는 것을 굳이 권하고 싶지 않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이다.

  투자권유 아닙니다.
 
킨토노미, 1분 투자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