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만기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액은? (정부기여금, 이자)
860만원 준다는데 청년도약계좌 신청해볼까 신청기간 조건 이자계산방법:
860만원 준다는데 청년도약계좌 신청해볼까 신청기간 조건 이자계산방법
23년 처음 선보인 '청년도약계좌'.올 2월에도 서민금융진흥원 주관으로 진행되었다. 3월 신청의 경우 오는 3/4일부터 신청받는다.신청방법, 신청기간, 조건 알아본다. 서민금융진흥원 주관으로
rereplay.tistory.com
3/4부터 신청 받는다는 청년도약계좌 5년간 월 최대 70만원 납입할 수 있다.
실제 최대혜택기준 만기수령액 이자 수익률 계산해보니...

1. 결론 : 최대 860만원 받는다. 5년간. (수익률은 아래참고)
매월 70만 원을 5년간 납입하고, 정부로부터 매월 3만 3천 원의 기여금을 받으며, 연 이자율 6%의 단리계산.
1. 총 납입 원금:
• 개인 납입금: 70만 원 × 60개월 = 42,000,000원
• 정부 기여금: 3만 3천 원 × 60개월 = 1,980,000원
• 총 원금 합계: 42,000,000원 + 1,980,000원 = 43,980,000원
2. 이자 계산:
매월 납입되는 금액에 대해 각각 이자가 계산되므로, 각 납입금에 대한 이자를 개별적으로 계산한 후 합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각 월별 납입금에 대한 이자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 개인 납입금에 대한 이자:
각 월별 납입금 70만 원에 대해 남은 기간 동안 이자가 부여됩니다.
예를 들어,
• 첫 달 납입금: 70만 원 × 0.06 × 60/12 = 2,100,000원
• 둘째 달 납입금: 70만 원 × 0.06 × 59/12 = 2,065,000원
• 셋째 달 납입금: 70만 원 × 0.06 × 58/12 = 2,030,000원
• …
이러한 방식으로 마지막 달까지 계산한 후, 모든 이자를 합산합니다.
단리로 계산하는 이유(하나은행 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링크):

• 정부 기여금에 대한 이자:
각 월별 기여금 3만 3천 원에 대해 남은 기간 동안 이자가 부여됩니다.
예를 들어,
• 첫 달 기여금: 33,000원 × 0.06 × 60/12 = 99,000원
• 둘째 달 기여금: 33,000원 × 0.06 × 59/12 = 97,350원
• 셋째 달 기여금: 33,000원 × 0.06 × 58/12 = 95,700원
• …
이러한 방식으로 마지막 달까지 계산한 후, 모든 이자를 합산합니다.
3. 총 이자 합계:
• 개인 납입금에 대한 총 이자: 약 6,405,000원
• 정부 기여금에 대한 총 이자: 약 301,950원
• 총 이자 합계: 6,405,000원 + 301,950원 = 6,706,950원
4. 만기 시 총 수령액:
• 총 원금 합계 + 총 이자 합계 = 43,980,000원 + 6,706,950원 = 50,686,950원
5. 총 이자 수익:
• 만기 수령액 - 총 납입 원금 = 50,686,950원 - 42,000,000원 = 8,686,950원
6. 연간 이자 수익:
• 총 이자 수익 ÷ 투자 기간(년) = 8,686,950원 ÷ 5년 = 1,737,390원/년
7. 5년간 수익률 계산:
• 총 이자 수익 ÷ 총 납입 원금 × 100 = 8,686,950원 ÷ 21,000,000원 × 100 ≈ 41.36%
*21,000,000으로 계산하는 이유는 적금이기 떄문이다.
8. 연이율 계산:
• 5년간 수익률 ÷ 투자 기간(년) = 20.68% ÷ 5년 ≈ 8.27%
따라서, 이 경우 적용된 단리 연이율은 약 8.27%.
참고 사항:
• 이 계산은 단리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금융 상품의 이자 계산 방식이나 추가 혜택에 따라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이자율 확인을 위해서는 해당 금융기관의 공식 자료나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 청년저축계좌 혜택 & 계산 뒷받침하는 근거
✅ 은행이자 연 4.5~6% (단리, 일반적인 적금상품은 단리적용됨)

✅ 정부기여금 최대 월 6% ( 2만 1천원 ~ 3만 3천원)
✅ 쌓이는 정부기여금에도 이자 준다.

✅ 이자소득세 0원, = 세금 없다함(참고. 시중 예적금상품 이자소득세는 15.4%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