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분 투자 마인드

연봉 1억 실수령액 알아보니... 2025 연봉실수령액표 4000 5000 6000 7000

by 킨토노미 2025. 3. 25.
반응형

연봉 1억의 실수령액은 월 660~680만 원이다. 이 정도면 1~2인가구라면 꽤나 여유롭기에 저축과 투자를 할 수 있다. 하지만 4인 이상 외벌이 가정이라면 생활은 가능하나 주거비, 교육비 부담이 꽤 큰 편.  실질적인 중산층 느낌은 있으나 매우 풍족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연봉 1억 월 실수령액
네이버 연봉실수령액 계산기

 

연봉과 월 실수령액이 차이나는 이유

연봉 1억은 분명 상위 10~15%의 소득자임은 분명하다. 세전 월급액을 환산하면 830만 원이지만,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니 660이라는 생각보다 적은 금액에 놀라는 사람도 많을 것. 이렇게 세전월급액과 실수령액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 고용보험 0.9%,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근로소득에서 원천징수하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은 퇴직 후 노후에 돌려받는 저축이다 생각하면 되고, 건강보험은 병원 갈 때 진료비와 치료비 절감 혜택으로 주어지는 것이고 고용보험은 혹시 모를 실직으로 인한 보험인 것. 게다가 근로소득에 따른 세금을 내야 한다. 그러나 내가 쓴 비용금액을 알 수 없으니 원천징수 해가고 쓴 만큼 제하여 연말정산으로 돌려주거나 더 빼가는 것이다.

아래는 2025년 연봉 실수령액표이다.

2025 연봉 실수령액표

아래는 2025년 기준 연봉 월 실수령액표이며, 일반적인 해당 직업군도 같이 기재해두었다. 일반적인 경향이며 개인의 능력 나이 등에 따라 연봉은 달라질 수 있다.

✔️ 3,000만원 ~4,900만 원 구간 :

중소기업 신입 ~ 대리, 사무보조, 생산직, 공무원 7~9급

 

✔️  5,000만원 ~6,900만 원 구간 :

대기업 사원 ~ 과장, 전문직 초봉, 대형병원 간호사, 공기업 중간관리자

 

✔️  7,000만원 ~8,900만 원 구간:

대기업 차장급, 연구직 박사 초봉, IT 개발자 경력직, 외국계 관리자, 변호사 초봉

✔️  9,000만원 ~ :

임원급, 전문직(의사, 회계사), CEO, 고위공무원

실수령액은 우리가 실제로 쓰게 되는 ‘현실 월급’이다. 단순히 연봉이 얼마인지만 따지기보다는, 세금과 4대보험을 고려한 실수령 기준으로 재무계획을 세워야겠다.

킨토노미, 1분 투자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