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분 투자 마인드17

요즘 30대는 어느 정도 자산이 있어야 ‘중간’은 갈까? 필자는 공무원이던 시절이 있다. 안정적인 직업이었지만 급여는 짜도 너무 짰다.월 180만원. (2020년대 받았던 월급..)물가 오르고 세금 오르는 시대에, 통장에 직히는 이 숫자는 정말 버티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는 금액이었다.그런데 어느 날, 서울 근교 아파트 시세를 검색해보고 충격을 받았다.'앞으로 10년동안 모아도 전세조차 어렵겠구나...' 하는 현실이 피부에 와닿았다. 더 충격적이었던 건, 5년 뒤 퇴직예정인 계장님의 연봉이 6천만원이라는 사실이었다.나는 친구가 다니는 대기업 신입 연봉이 6천만원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있다. 그 순간 '나는 이 직장을 오래 다닌다고 해도 뭔가 달라지지 않을 수도 있겠구나' 하는 두려움이 들었다. 그래서 궁금해졌다. 직장 5~10년차가 되는 직.. 2025. 5. 15.
월 1천만원 벌던 시절, 왜 연 5천만원도 못 모았을까? 어느 50대 가장의 솔직한 후회 나는 올해 50대에 접어든 가장이다.돌이켜보면 내 인생에서 가장 많이 벌던 시절은 40대 중후반이었다.프로젝트, 외주 일까지 겹치며 매달 수입이 1천만 원을 넘긴 달이 여러 번 있었다.내 손으로 가족을 먹여살릴 수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러웠고당시만 해도 '나는 그래도 잘 살고 있는 펀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지금 돌아보면 한 가지 묘한 공허함이 남는다.그 시절 그렇게 많이 벌었지만,결국 통장에 남은 돈은 별로 없었다. 수입이 많으면 여유로워질 줄 알았다 한 달에 천만 원이 들어오면,이 중에서 4~5백만원 정도는 무조건 남을 줄 알았다.하지만 현실은 그와는 정반대였다. 당시의 내 삶은 이랬다. 아들 학원비, 영어캠프, 피아노 수업아내가 챙기는 양가 부모님 .. 2025. 4. 23.
65세 이후 노후 순자산은 얼마나 있어야 할까? 2024년 통계청 자료와 현실적인 준비금 기준 정리 노후 자산에 대해 고민해본 사람이라면'얼마를 모아야 평균은 넘을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한 번쯤 해봤을 것이다.하지만 그 답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면막연함과 불안이 동시에 밀려온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4년 통계청 자료에 기반한 65세 이상 가구의 순자산 현황내가 계산한 현실적인 목표금액그 금액을 만들기 위한 월별 계획까지 모두 정리해보았다. 2024년 통계청 기준 - 65세 이상 순자산 현황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2024)에 따르면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평균 순자산은 약 5억 1,922만원이다.다만 중앙값은 2억 4천만원으로상위 자산가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적인 중간 수준은 더 낮은 편이다.구분순자산 규모평균약 5억 1,922만원중앙.. 2025. 4. 22.
소액으로 시작한 삼성전자, 며칠만에 수익률이 뒤집히다 한국 주식을 잘 안하는 내가, 이 종목을 선택한 이유 나는 평소에 한국주식을 자주 하지 않는다.미국 주식 쪽에 더 익숙하기도 하고,매도 타이밍을 잘 못잡고 장기 투자에 익숙한지라워낙 시장 분위기가 출렁이는 걸 여러 번 봐서 손이 잘 안 갔다. 그런데 삼성전자는 워낙 가격이 계속 떨어져서 최근에 소량 구입해 본 것.익숙한 회사이고, 한 때 9만원이 넘었던 주식이 5만 원대라니...'이 정도면 싸게 사는 거 아닐까?' 싶어 1월부터 간간히 사모았는데... 몇 주 전까지만 해도 "진짜 잘 샀다" 싶었다내 매수 가는 54,800원.몇 주 안 되기 때문에 기대감 제로. 그런데 트럼프 관세 정책 돌입 전, 취임 전까지만 해도 ㅋㅋ 6만 원을 넘어서며 수익률이 + 10% 를 찍었다.딱히 팔 생각은 없었지만, 앱을 켤.. 2025. 4. 17.
4천만원 든다는데... 영어유치원 보내야할까? 2년 4천만원,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 "아이를 낳으면, 정말 애지중지 잘 키우고 싶다."요즘 나의 현실이다.아직 아이는 없지만, 어느 날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든다.'내가 아이를 낳는다면, 영어유치원은 보낼까?" 지인의 말에 따르면 요즘 영어유치원은 2년에 4천만원 수준이라고 한다.게다가 주변 부모들이 "뒤처지면 어쩌지" 하는 마음에 대부분 보낸다고.나도 투자도 하고, 적금도 붓고 있지만 이건 좀 다른 차원의 고민이다. 영어유치원, 어떤 가정에 어울릴까? 1. 아이의 한국어가 충분히 발달했을 때한창 말이 트일 때 영어를 접하면 좋다는 말도 있지만,사실 모국어가 충분히 안정됐을 때, 영어를 접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우리말도 제대로 못하는데 영어 노출이 많아지면, 두 언어 모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2025. 4. 16.
50대 얼마있어야 중간은 갈까? 중산층 가구 중위소득 알아보자 나는 중산층일까? 중산층이라는 단어는 익숙하면서도 막연하다.특히 50대는 자녀 교육, 내 집 마련, 은퇴 준비 등 여러가지 재정과제가 한꺼번에 몰려오는 시기이다. 직장 동료 중 한 명은 50대 초반인데, 순자산이 3억 원 정도라고 했다.요즘 들어 자녀 교육비와 노후 준비가 겹쳐 많이 불안해하던 참이었다.그런데 이번 통계를 보고 “그래도 중산층 범위 안에는 들어가니까 너무 좌절하지 않겠다”며 위안을 삼더라.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자신이 사회 속 어디쯤에 있는지를 체감하는 것이 중요한 듯하다.그렇다면, 실제 24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50대 가구의 '중산층'은 어느 정도일까? 24년 기준, 50대 순자산 중위값은 얼마일까?통계청과 한국은행이 공동 발표한 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50대 가구의 순자산 중..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