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7 요즘 MZ는 얼마 있어야 부자 일까? 팩트체크 나는 상위 몇 %일까? 숫자로 따져본 진짜 자산의 기준최근 들어 자주 듣는 질문이 있다."요즘 진짜 부자는 얼마쯤 있어야 하나요?""내 자산 수준이면 상위 몇 %쯤 되는 걸까요?" 이건 단순한 호기심 그 이상이다.물가도 오르고, 자산 격차는 더 벌어지는 지금,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질문이다. 나 역시 그랬다.정확히 알 수 없으니 불안했고,내가 괜찮은 건지 아닌지 모호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이번에는 하나금융연구소 보고서와 2024년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요즘 MZ세대(40대 이하) 자산 수준과 부의 기준을 직접 정리해보았다. 대한민국 MZ세대 순자산 현황 40대 이하 가구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이는 가구 단위 순자산(부채를 뺀 실제 보유자산)을.. 2025. 4. 11. 5년 16% 수익, 국가가 보장하는 국채 청약에 관심 급증하는 이유 요즘처럼 금리는 애매하고, 주식은 불안한 시기다.직장인이라면 월급 일부를 안정적으로 굴리고 싶은 마음이 클 것이다.예금은 수익이 아쉽고, 펀드나 주식은 리스크가 부담스럽다면정부가 발행하는 ‘개인투자용 국채’가 대안이 될 수 있다. 개인투자용 국채란? 개인투자용 국채는 정부가 발행하고, 일반 국민이 청약할 수 있는 국채 상품이다.은행 예금과 달리 국가가 원금과 이자를 지급 보장하며,**이자소득에 대해 분리과세(15.4%)**가 적용되기 때문에연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사람도 종합과세를 피할 수 있다.왜 직장인에게 적합한가? 안정성: 정부가 원금 + 이자를 보장함 절세효과: 분리과세 적용 복리수익: 5년 동안 복리로 이자가 누적돼 수익률이 높음 중기자금 운영 가능: 퇴직금, 보너스, 결혼·.. 2025. 4. 10. 케이크 팔아 CJ이겨버린 어느 가게 이야기 요즘같이 프랜차이즈가 시장을 장악한 시대,전국에 단 16개 매장만 두고 CJ푸드빌을 이긴 빵집이 있다.바로 대전의 전설, 성심당이다. 성심당,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기록 성심당 운영사 ‘로쏘’는 2024년 4월 공시된 자료에서2023년 한 해 동안 1,93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전년도 매출 1,243억 원보다 56%나 증가한 수치로 엄청난 금액이다. 영업이익도 놀랍다.2022년 315억 원에서 → 2023년에는 478억 원으로뚜레쥬르를 운영하는 CJ푸드빌(298억 원)을 큰 차이로 제쳤다. 아래 두 회사의 영업이익을 비교해 보자.성심당(로쏘) : 매장 수 16개 / 영업이익 478억 원CJ푸드빌 : 매장 수 1300여 개 / 영업이익 298억 원 대형 프랜차이즈를 단일 지역 매장이 꺾은 것.. 2025. 4. 9. 540만원 준다는데... 드림For청년통장 신청해볼까? 인천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드림For청년통장’ 청년이라면 누구나 목돈 마련에 대한 고민이 크다.특히 취업 초기에는 소득이 낮고 저축 여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이런 시대적 상황에 인천시가 청년 노동자를 대상으로매월 15만 원씩 저축하면 3년 후 총 1,08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름하여 ‘드림For청년통장’이다. 드림For청년통장이란? 이 제도는 청년이 3년 동안 매월 15만 원을 저축하면,인천시가 같은 금액(54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해주는 정책이다.즉, 총 1,08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2019년 도입 이후 지금까지 4,000명 이상의 청년이이 제도를 통해 실질적인 자산 형성의 기회를 얻었다. 신청 대상은 누구? 신청 자격은 다음과 같다. 연령: 만 18세 .. 2025. 4. 8. 공무원 월급 300만원 시대? 그런데 응시율은 '역대 최저'인 이유 2025년 9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이 끝났다.시험 전부터 화제가 된 것은 다름 아닌 ‘300만 원 시대’를 앞둔 공무원 월급 이야기였다.정부는 공무원의 매력을 높이겠다며 월급 인상과 복지 강화를 내세웠다.하지만 실제 시험장에서는 뜻밖의 장면이 연출됐다. 빈자리가 많았던 것이다. 월급 올려도 응시율은 ‘뚝’ 인사혁신처에 따르면,지난 4월 5일에 치러진 **2025년 9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의 응시율은 75.2%**에 그쳤다.이는 2023년(78.5%), 2024년(75.8%)보다도 낮은 수치로, 사상 최저 응시율이다. 총 10만4952명이 원서를 접수했지만, 실제 시험장에 나온 사람은 7만8894명뿐이었다.응시율 감소는 단순한 통계 문제가 아니다.공시 열풍이 식고, 공직을 바라보는 인식이 달라졌다는 방증.. 2025. 4. 8. 취업준비 중이라면 최대 300만원, 꼭 알아야할 지원제도 정부가 취업 준비 중인 청년과 구직자에게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 중이다.고용노동부가 제공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생계지원금과 취업지원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소득·재산 요건에 따라 Ⅰ유형, Ⅱ유형으로 나뉜다.Ⅰ유형 – 최대 300만 원, 월 50만 원씩 6개월 지원 지원조건 • 연령: 만 15세 ~ 69세 • 중위소득 60% 이하 • 가구 재산 합산 4억 원 이하 청년 우대조건 • 만 15세 ~ 34세 청년의 경우중위소득 120% 이하 + 재산 5억 이하로 완화 적용 지원내용 • 구직촉진수당 최대 300만 원 (월 50만 원씩 6개월) •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추가 지원 가능 (1인당 월 10만 원씩) •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심층상담, 직업훈련, 면접 컨설팅 등)Ⅱ유형 – .. 2025. 4. 7.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