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8

기요사키는 비트코인을 사라 했고, 나는 과거에 손해를 봤다 - 다시 들어가도 될까? 비트코인, 포트폴리오에 얼마나 담아야 할까? 기요사키의 경고와 내 투자 경험에서 얻은 결론 요즘 다시 비트코인이 눈에 밟힌다.로버트 기요사키가 또 한번 경고장을 날렸다 "주식, 채권, 달러는 무너지고, 금·은·비트코인이 급등할 것"-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 그는 지금의 글로벌 금융 시스템 자체가 문제라고 말한다.미국 연준, 유럽 중앙은행, 일본은행 등을 "세계 금융 카르텔" 이라 부르면서,중앙은행의 통제에서 벗어나려면 실물자산과 암호화폐를 보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의 첫 비트코인 투자, 그리고 손실 솔직히 나도 한 때, 기요사키의 말에 크게 공감했던 사람이다.그래서 2022년 비트코인이 고점을 찍고 흔들릴 때,300만원 정도를 투자했다. 결과는 당시 -200만원으로 업비.. 2025. 4. 19.
4월 예금금리 가장 높은 은행 TOP3 비상금 묵혀두지 말자그래도 예금금리 높은 은행으로 갈아타려고 한다면, 지금 어디가 제일 낫지?요즘 주식도 애매하고, 부동산은 여전히 멀게만 느껴진다.그렇다고 가만히 두자니 청약통장이나 비상금 통장이 너무 '놀고 있는' 기분. 혹시 몰라 모아둔 비상금을 어느 은행에 넣어두어야 가장 유리한가 한번 따져 볼 때가 됐다. "그래도 금리가 높은 예금으로 옮겨두면 몇 만원이라도 더생기는 거 아닌가?"그래서 바로 웹서치에 들어갔다. 예금 금리, 요즘 얼마나 줄까?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2025년 4월 기준 12개월 만기 정기예금의 기본금리는 대체로 2% 중후반.3% 넘는 상품은 이제 보기 어렵다. 멸종된 수준. 하지만, 그렇다고 마냥 실망할 일은 아니다.인터넷 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 등으로 조금만 넓게 보.. 2025. 4. 18.
소액으로 시작한 삼성전자, 며칠만에 수익률이 뒤집히다 한국 주식을 잘 안하는 내가, 이 종목을 선택한 이유 나는 평소에 한국주식을 자주 하지 않는다.미국 주식 쪽에 더 익숙하기도 하고,매도 타이밍을 잘 못잡고 장기 투자에 익숙한지라워낙 시장 분위기가 출렁이는 걸 여러 번 봐서 손이 잘 안 갔다. 그런데 삼성전자는 워낙 가격이 계속 떨어져서 최근에 소량 구입해 본 것.익숙한 회사이고, 한 때 9만원이 넘었던 주식이 5만 원대라니...'이 정도면 싸게 사는 거 아닐까?' 싶어 1월부터 간간히 사모았는데... 몇 주 전까지만 해도 "진짜 잘 샀다" 싶었다내 매수 가는 54,800원.몇 주 안 되기 때문에 기대감 제로. 그런데 트럼프 관세 정책 돌입 전, 취임 전까지만 해도 ㅋㅋ 6만 원을 넘어서며 수익률이 + 10% 를 찍었다.딱히 팔 생각은 없었지만, 앱을 켤.. 2025. 4. 17.
4천만원 든다는데... 영어유치원 보내야할까? 2년 4천만원,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 "아이를 낳으면, 정말 애지중지 잘 키우고 싶다."요즘 나의 현실이다.아직 아이는 없지만, 어느 날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든다.'내가 아이를 낳는다면, 영어유치원은 보낼까?" 지인의 말에 따르면 요즘 영어유치원은 2년에 4천만원 수준이라고 한다.게다가 주변 부모들이 "뒤처지면 어쩌지" 하는 마음에 대부분 보낸다고.나도 투자도 하고, 적금도 붓고 있지만 이건 좀 다른 차원의 고민이다. 영어유치원, 어떤 가정에 어울릴까? 1. 아이의 한국어가 충분히 발달했을 때한창 말이 트일 때 영어를 접하면 좋다는 말도 있지만,사실 모국어가 충분히 안정됐을 때, 영어를 접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우리말도 제대로 못하는데 영어 노출이 많아지면, 두 언어 모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2025. 4. 16.
50대 얼마있어야 중간은 갈까? 중산층 가구 중위소득 알아보자 나는 중산층일까? 중산층이라는 단어는 익숙하면서도 막연하다.특히 50대는 자녀 교육, 내 집 마련, 은퇴 준비 등 여러가지 재정과제가 한꺼번에 몰려오는 시기이다. 직장 동료 중 한 명은 50대 초반인데, 순자산이 3억 원 정도라고 했다.요즘 들어 자녀 교육비와 노후 준비가 겹쳐 많이 불안해하던 참이었다.그런데 이번 통계를 보고 “그래도 중산층 범위 안에는 들어가니까 너무 좌절하지 않겠다”며 위안을 삼더라.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자신이 사회 속 어디쯤에 있는지를 체감하는 것이 중요한 듯하다.그렇다면, 실제 24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50대 가구의 '중산층'은 어느 정도일까? 24년 기준, 50대 순자산 중위값은 얼마일까?통계청과 한국은행이 공동 발표한 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50대 가구의 순자산 중.. 2025. 4. 14.
서울에 살아야 부자가 된다고? 지역이 자산 격차가 되는 사회에 대하여 "서울에 살아야 부자가 된다."이 말은 요즘 SNS나 기사 댓글에서도 자주 보게 되는 문장이다.나도 한동안 이 말에 크게 공감하며,지방 출신으로서 서울 아파트의 벽 앞에서 좌절감을 느낀 적이 많았다. 하지만 요즘은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지금은 부동산 외에도 자산을 늘릴 수 있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서울과 지방의 자산격차, 현실이 맞다 최근 중앙대학교 마강래 교수 연구팀은‘거주지역과 자산 축적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놀랍게도 서울 거주 유주택자의 평균 순자산 : 약 5억 1천만 원6대 광역시 무주택자의 평균 순자산 : 약 1억 1천만 원 그 차이는 무려 4억 원.이 데이터만 보면,부동산을 가진 사람만이 부자가 되는 세상처럼 느껴진다.실제로 집 한 .. 2025. 4. 13.